728x90
이번 시간에는 재활치료에서 뇌졸중환자, 신경마비환자, 연하곤란환자들에게
적용을 많이하는 기능적 전기자극치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1) 정의 - 전극을 운동전에 부착시키고 환자가 참을 수 있을 강도로 자극하여
근수축을 유발시켜 중추신경계환자의 재활치료에 이용하는 방법
2) 용도
① 관절가동범위유지 및 증대를 위한 기능훈련
② 편마비 환자의 보행기능훈련
③ 편마비환자의 견관절 아탈구 치료를 위한 기능훈련
(유병기간 6개월 이나의 아탈구 진행방지 및 회복)
④ 척수손상환자의 관절가동범위 유지증대
⑤ 근육기능 퇴화방지 및 근력증가
⑥ 신경마비환자 자발적 근재교육
⑦ 중주파치료(2,200Hz)
⑧ 경피신경자극치료 및 변성근치료기능
⑨ 자극시간조절로 정밀치료실현: 환자감각지각력증가
삼킴능력이 부족한 연하곤란환자에게 적용하는 연하훈련
⑩ EMG 기능: 환자스스로 팔과 다리를 들어올리면 FES자극이 오는 기능으로
환자뇌에 자극을 주는 재활방식으로 효과증대
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
'건강, 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🍇치매예방에 좋은 깻잎🍓 (1) | 2024.04.03 |
---|---|
관절건강에 좋은 관절보궁 프리미엄 (1) | 2024.04.03 |
정형의학에서 척추관 협착증과 추간판 탈출증의 비교 (1) | 2024.03.24 |
물리치료에서 열전기치료 요약정리 (2) | 2024.03.24 |
작업치료사의 작업치료 실행체계 영역과 과정 (2) | 2024.03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