건강, 의학

작업치료사의 작업치료 실행체계 영역과 과정

albertopark 2024. 3. 24. 20:38
728x90

이번시간에는 재활의학과 재활센터에서 많이 사용되는 작업치료의 작업치료

실행체계 영역과 과정에 대해서 간략하게 요약해 보겠습니다.

 

1.작업영역

1) 일상생활활동 – 목욕, 샤워, 장과방광관리, 옷입고벗기, 먹기, 식사, 기능적이동, 개인용품관리, 개인위생및몸단장, 성생활, 화장실위생

 

2)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– 다른사람돌보기, 애완동물돌보기, 자녀양육, 의사소통관리, 지역사회이동, 재정관리, 건강관리 및 유지, 가정꾸리기 및 관리, 식사준비 및 설거지, 종교의식, 안전 및 응급상황대처, 장보기

 

3) 휴식과 수면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4) 교육

 

5) 일(WORK) - 구직관심 및 찾기, 구직탐색 및 취업, 직업수행, 퇴직준비및적응, 자원봉사탐색, 자원봉사참여

 

6) 놀이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7) 여가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8) 사회참여 – 지역사회, 가족, 동료친구

2. 클라이언트 요소

1) 가치, 신념, 영성

 

2) 신체기능(BODY FUNCTION)

① 정신기능 – 고위수준의 인지기능, 집중력, 기억력, 지각(감각, 시공간지각, 청각, 후각, 시각, 촉각, 미각, 전정감각, 고유수용성감각), 판단력, 학습된움직임패턴수행, 정서감정, 자아존중, 자아개념, 신체이미지, 각성수준, 의식수준, 지남력, 기질 및 성격, 에너지와욕구, 수면

② 감각기능과통증 – 시력, 시야, 감각탐지등록, 신체와환경으로부터 감각통합, 다양한 거리에서 환경의 시각적인식, 청각, 전정, 미각, 후각, 고유수용성감각, 촉각, 통증(방사통, 둔한통증, 찌르는듯한통증, 환각통), 국소통증, 온도와압각

③ 신경근 골격계와 움직임 관련기능 - 관절 및 뼈의기능(관절의 운동성, 관절가동범위, 관절의안정성, 자세정렬, 근력, 근긴장도, 근지구력, 운동반사(신장반사, 비대칭성긴장성반사, 대칭성긴장성경반사), 불수의적움직임반응(정위반응, 지지반응), 수의적움직임조절(눈손발협응, 양측통합, 중심선가로지르기, 소대운동조절, 안구운동(순간적움직임, 추적, 조절, 양눈보기), 보행패턴과 비대칭보행, 경직성보행

④ 심혈관계(혈압, 심박동), 호흡비율, 리듬, 깊이

⑤ 목소리와 언어기능, 소화계, 대사계, 비뇨생식기계, 피부상처, 베임, 찰과상, 머리 및 손톱기능

 

3) 신체구조(BODY STRUCTURE) - 신체기능기관, 손발 해부학적부분

① 신경계

② 눈, 귀와 관련된 구조

③ 목소리, 언어와 관련된 구조

④ 심혈관계, 면역계, 호흡계 구조

⑤ 소화기계, 대사계, 내분비계 구조

⑥ 비뇨기계 및 생식계 구조

⑦ 움직임과 관련된 구조 피부와 관련된 구조

 

4) 활동요건(Activity Demands)

① 특정단계, 순서, 시간적 요구

② 운동, 처리, 의사소통기술,

③ 관절의 움직임, 의식수준

④ 손발의 갯수, 눈의 갯수

 

5) 수행기술(performance skills)

① 운동-실행-숙련되고 목적있는 움직임

② 감각-지각기술(시각, 청각, 고유수용성감각, 촉각, 후각, 미각, 전정감각)선택, 해석, 연합, 조직, 기억 행위나 행동

③ 감정조절기술 – 직업참여, 상호작용시 느낌확인, 관리, 표현

④ 인지기술 – 활동수행계획, 운영행위나 행동

⑤ 의사소통 및 사회기술 – 상호작용환경안에서 타인과 상호작용, 의사소통행위

 

6) 수행패턴(performance patterns)

① 사람 – 습관, 일과, 의식, 역할

② 조직 – 일과, 의식, 역할

③ 인구 – 일과, 의식, 역할

 

7) 배경 및 환경 – 문화적, 개인적, 시간적, 가상적, 물리적, 사회적

 

3. 작업치료사 직무분석

1) 상담 – 내담자 정보확인, 내담자 욕구파악

 

2) 평가 – 평가계획수립(평가영역, 평가방법, 평가도구확인 및 준비)

a. 신경근육골격 및 운동관련기능평가하기 – 신체구조, 관절가동범위, 근력, 근긴장도, 근지구력, 운동기능(운동반사, 수의적, 불수의적운동), 연하기능

b. 상지기능 – 팔과어깨기능평가, 손기능평가(악력, 잡기, 기민성), 양손협응평가

c.  움직임(mobility)능력평가 – 자세변화 및 유지능력 평가, 물건나르기, 물건다루기, 보행과 이동능력평가, 운송수단을 이용한 이동능력평가

d. 발달검사 – 운동발달평가, 인지, 지각발달평가, 정서발달평가

e. 감각기능 – 보호감각평가(통각, 온도감각), 구별감각평가(시각, 청각, 촉각, 고유수용성), 감각처리평가

f. 정신기능 – 의식수준평가, 지남력, 주의력, 기억력, 고위인지기능(문제해결능력, 대처기술, 계산능력)기질과 성격기능평가

g. 의사소통평가 – 구두, 비언어적표현, 수화, 보조공학기기평가

h. 일상생활활동평가 – 먹기, 옷입고벗기, 꾸미기(서면, 치장), 목욕활동, 화장실위생, 대소변조절

i. 수단적 일상생활활동평가 – 건강관리및유지, 의사소통매체사용하기, 식사준비 및 가정관리, 안전조치 및 응급상황대처, 재정관리, 쇼핑

j.  사회기술평가 – 대인관계, 적응행동

k. 작업수행영역평가 – 교육평가, 직업능력, 놀이수준, 레크리에이션과여가평가

l.  환경요소평가 – 가옥구조, 가정관리, 인적자원가족, 지역사회환경, 학교, 시스템, 정책평가

 

3) 중재계획

a.  문제확인 – 평가결과분석, 강점 및 약점파악, 우선순위 파악

b. 치료계획수립 – 중재목표설정하기(장단기, 우선순위정하기), 중재접근틀 및 중재방법 정하기, 퇴원후 중재계획 수립하기, 적절한 서비스연계프로그램 추천하기

4. 중재

1) 신경근육골격 및 운동관련기능 증진시키기 – 신체구조, 관절가동범위, 근력, 근긴장도, 근지구력, 근력, 근긴장도, 근지구력, 운동반사, 수의적, 불수의적운동, 연하기능촉진

2) 상지기능 증진시키기 – 팔과어깨, 손기능, 양손협응력

3) 움직임 능력(mobility) 증진시키기 - 자세변화 및 유지능력, 물건나르기, 다루기, 보행과 이동능력, 의자차 추진능력 향상, 운송수단이용이동능력증진

4) 발달기능증진 – 운동발달촉진, 인지지각발달, 정서발달촉진

5) 감각기능증진 – 보호감각능력, 구별감각능력, 감각처리능력

6) 정신기능증진 – 의식수준증진, 지남력, 주의력, 기억력, 문제해결능력, 대처기술, 계산능력, 기질과성격조절능력증진

7) 의사소통증력증진

8) 일상생활능력훈련 – 먹기, 옷입고벗기훈련, 세면치장활동, 목욕활동, 화장실위생훈련, 대소변처리훈련

9) 수단적 일상생활능력증진 – 건강관리 및 유지, 식사준비 및 가정관리, 안전조치 및 응급상황대처, 재정관리, 쇼핑

10) 사회기술향상 – 개인관계훈련, 적응행동향상

11) 보조기 의수족제공 – 의수족훈련, 보조기제작의뢰

12) 학교작업치료 – 개별화교육수립치료, 피료, 교육, 복지연계

13) 방문작업치료 – home skill 수립

14) 운전재활 - 모의운전검사훈련

15) 직업재활 - 직업강화

 

5. 교육 및 관리 – 보호자, 환자, 지역사회 교육, 홍보

 

6. 자기계발 – 연구활동, 전문성향상, 건강, 스트레스관리, 구성원내 자기위상확립, 윤리의식함양

 

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